PDF 이야기2010. 1. 14. 17:47

# 2003~4년 PDF 포럼운영시 직접 작성한 원고입니다.
---------------------------

■ 리눅스에서 '윈도우용 한글 아크로밧리더5.1' 사용하기

앞서 리눅스용 아크로밧리더5.07을 설치하는 과정은 설명드렸습니다.
리눅스에서 시각적으로 풍부한 정보를 열람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지만 한글사용 문제라든지,

간간히 보이는 에러상황, 한글 본문 검색의 미비, 익숙하지 않은 영문 인터페이스가 신경쓰이는 분들도 계시리라 봅니다.

이에 조금 욕심을 내어 리눅스에서 '윈도즈용 한글 아크로밧리더5.1'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PDF문서를 제대로 보기 위해 윈도우로 다시 부팅해야하는 수고는 줄어들 수 있을 것입니다.

■ 설치환경

한컴 리눅스 3.1
한컴 Windex1.0
윈도우용 한글 아크로밧리더5.1

한컴 리눅스에서는 지난 4월 24일 '한컴 리눅스3.1 프로페셔널'을 출시하면서 한컴 Windex

(WINdow EXchange)1.0을 함께 선보였습니다. Windex는 에뮬레이터인 Wine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을 리눅스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VMware처럼 별도의 가상시스템을 만드는 것과는 다른 형태입니다.)

- 리눅스에서 윈도우용 익스플로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윈도우 사용자가 리눅스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을 최소화하고 오피스나 익스플로어 웹브라우저 지원 등을 통해 문서사용의 호환성을 높이고 인터넷 뱅킹처럼 그간 리눅스에서 불가능했던 웹 서비스를 가능케 해 줍니다. 아크로밧리더 또한 아직 호환성 테스트 목록에 들어가 있지는 않지만 아크로밧 사용자로서 가만 있을 수는 없겠죠.

- 리눅스용 아크로밧리더 5.07 (표시 부분과 같이 한글사용이 자유롭지 못하다.)

- 리눅스에 설치한 윈도우용 한글아크로밧리더5.1
윈도용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 과정대로 천천히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한국 어도비 사이트로 이동한 다음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분을 클릭.

- 화살표가 지시하는 대로 설정 후 '다운로드 버튼' 클릭

- '확인'을 클릭.

- root폴더에 '저장'을 합니다.

-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닫기'버튼을 클릭.

- 그림과 같이 'Windex Setup'을 클릭.

- 최초 실행시 간단한 소개화면이 나옵니다. 'OK'를 클릭

- 필요한 파일들을 설치하기 시작합니다.

- DCOM95을 설치하겠는가? 라고 묻습니다. '예'를 클릭
(무료배포되는 FTP버전이 아닌 정품구입 후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업그레이드하면 DCOM98이라고 나오며

익스에서 한글 입력문제등이 해결되어 있습니다.)

- 'Yes'를 클릭.

- 필요한 파일을 설치하고 환경을 구축합니다.

- 기본적으로 호환성테스트를 마친 프로그램들의 목록이 나옵니다.
우리는 위에서 다운받은 아크로밧리더 파일을 설치할 것이므로 '사용자설치'를 클릭합니다.

- CD에서 설치하는 경우와 파일을 통해 직접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 '파일설치'를 클릭.

-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분을 클릭.

- 그림처럼 /root/폴더에서 다운받은 'AcroReader51_KOR.exe'를 선택합니다.

- 'Open'을 클릭

- 이제 '설치'버튼을 클릭합니다.

- 설치에 필요한 압축파일들이 자동으로 풀립니다.

- 설치마법사가 나머지 설치과정을 안내합니다.

이후 윈도우 아크로밧리더의 설치과정과 동일합니다.

'다음'을 클릭.

- '다음'을 클릭

- 설치가 시작됩니다.

- 설치가 다 되었군요.

- '확인'을 클릭.

- 바탕화면에 아크로밧리더의 단축아이콘이 보입니다.
※중요. 여기서 좌우로 움직이는 설치상황 막대바가 움직이지 않고 멈춥니다.
설치과정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하세요.

- '중지'버튼을 누른 다음 '닫기'버튼을 클릭합니다.

-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화면이 나옵니다.

무시하고 'OK'버튼을 클릭.

- '닫기'버튼을 눌러 Windex를 종료합니다.

- 바탕화면의 단축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아크로밧리더를 실행합니다.

- 위에서 사용권허가 계약서 화면이 스플래시 화면에 가려 보이지 않습니다.
그림처럼 타이틀바를 드래그하여 밖으로 빼낸 후 '동의'버튼을 클릭.

-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예'를 클릭.

- 열기 버튼을 클릭, 위치창에서 각 폴더의 실제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FLOOPY(A:) - 실제 플로피드라이버 입니다.
MS-DOS(C:) - /var/lib/windex/ 폴더입니다.
HOME(D:) - /root/ 폴더입니다.
CD-ROM(E:) - CD롬 드라이버입니다.
Root(F:) - / 폴더입니다.

- 그림은 root폴더에 미리 저장해 둔 캐논디카 G5의 브로셔 pdf파일을 선택했습니다.

- 100줄의 스펙설명보다 풍부한 사진을 통해 접하는 정보가 더욱 설득력을 가집니다.

이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크로밧리더의 추가적인 환경설정 등은 앞서의 강좌를 참조하세요.

아직까지는 1.0초기버전으로서 문제점이 보이는군요.
화면에 그려지는 속도가 다소 느리고 현재 한글 검색, 입력은 되지 않습니다.(영문은 가능)
익스플로어 내에 PDF링크 버튼을 클릭시 스플래시 화면이 나온 후 화면이 멈춘 듯 보입니다.
이런 부분은 다음 버전에 좀 더 최적화 되어 나올 것이라 예상됩니다.


리눅스에서 윈도우 프로그램을 돌린다는 개념이 다소 논란의 여지는 있겠습니다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한 컴퓨터생활과 정보접근의 용이성 증대,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고 봅니다.
암튼 개발자님들 홧~팅입니다요.

Posted by pdf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