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이야기2010. 1. 25. 20:11

# 2003~4년 PDF 포럼운영시 직접 작성한 원고입니다.
---------------------------

■ 코렐드로우에서 PDF변환하기

실제 코렐 문서를 이용하여 PDF변환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체 PDF출력 기능과 아크로밧을 이용한 출력시

어떤 차이점이 있는 지 살펴보시고 혹 있을지 모르는 오류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시기 바랍니다.

[글 순서]
1. 코렐드로우9 - PDF 자체출력기능 사용시
2. 코렐드로우9 - 아크로밧 디스틸러 드라이버 사용시
3. 코렐드로우11 - PDF 자체출력기능 사용시 ('문서에 글꼴 포함' 옵션 적용)
4. 코렐드로우11 - PDF 자체출력기능 사용시 ('문서에 글꼴 포함' 옵션 적용안함)
5. 코렐드로우11 - 아크로밧 디스틸러 드라이버 사용시 (아크로밧 디스틸러6 적용)
6. 코렐드로우11 - PDF 자체출력 후 아크로밧 디스틸러 드라이버 사용시
- 코렐11과 아크로밧만 가지고 있을 때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

1. 코렐드로우9 - PDF 자체출력기능 사용시

- '파일-PDF출력'클릭
옵션은 앞 강좌에서 사용한 그림을 살펴보시고 그대로 적용하세요.

- 우측 하단에 출력상황이 나타납니다.

- 변환이 완료되었습니다.
얼핏 보면 제대로 변환된 것 처럼 보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편집-기본설정-표시'에서 그림처럼 '라인아트 부드럽게 하기'의 체크를 해제하고 확인

- 영문폰트를 제외한 모든 한글 텍스트는 사실 텍스트가 아니라 벡터이미지로 바뀌어 있으며

벡터이미지에 적용되는 '라인아트 부드럽게 하기'효과가 적용되지 않아 안티알리아스가

적용되지 않은 거친 이미지로 보여집니다.

- 모든 한글서체가 벡터이미지로 변환되면서 엄청난 노드점이 발생되어 7페이지짜리 문서의 파일크기가
11mb에 이르고 있습니다. 출력할 때를 제외하고 배포용 문서로서는 사용할 수 없겠죠.

- 문서글꼴 창에도 영문폰트만 제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본문검색은 되지 않습니다.

2. 코렐드로우9 - 아크로밧 디스틸러 드라이버 사용시

- '파일-인쇄'를 클릭
Acrobat Distiller를 선택합니다.
작업옵션은 'pdfman'옵션(Lesson6. 디스틸러 설정 부분 참조)을 적용했습니다.

- 포스트스크립트 탭에서의 옵션은 그림과 같습니다.

- 기타탭에서의 옵션은 그림과 같습니다.
'인쇄'를 클릭

- 아크로밧 디스틸러를 사용시에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옵니다.

- 영문서체만 제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본문검색은 되지 않습니다.

3. 코렐드로우11 - PDF 자체출력기능 사용시
- '문서에 글꼴 포함' 옵션 적용

- '파일-PDF출력-설정'클릭
일반탭에서 호환성은 아크로밧 5.0, 그리고 작성자와 중심어를 입력합니다.

- 개체탭에서 그림처럼 설정합니다.
'문서에 글꼴 포함'을 체크한 상태입니다.

- 고급탭에서 옵션은 그림과 같습니다.
설정을 마쳤으면 확인을 클릭.

- 저장될 폴더와 파일명을 입력 후 '저장'을 클릭

- 변환결과 텍스트가 벡터이미지로 바뀌진 않았지만 사용된 서체가 바탕체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원래 문서에 사용된 서체는 윤명조와 윤고딕 서체입니다.

- 문서속성에서 글꼴탭을 살펴보면 제대로 인코딩 되지 않고 실제 글꼴에 '바탕'으로 되어있습니다.

- 서체가 벡터이미지로 변하진 않았기 때문에 파일크기는 250kb 정도입니다.

4. 코렐드로우11 - PDF 자체출력기능 사용시
- '문서에 글꼴 포함' 옵션 적용안함

- 이번에는 개체탭에서 그림처럼 '문서에 글꼴 포함'옵션을 해제합니다.
'확인'을 클릭

- 변환결과 적어도 화면상으로는 제대로 변환된 것처럼 보입니다.

- 검색도 가능하고 텍스트 추출도 가능합니다.

- 실제글꼴에는 문서에 사용된 서체가 보입니다.

그러나 pdf문서 내에 '포함서브세트' 되지는 않았습니다.
이 경우 자신의 시스템에서 혹은 문서에 사용된 서체를 가지고 있는 상대방이라면 문서가 제대로 보여지고

프린트도 가능합니다만 해당 서체가 없는 시스템에서는 기본서체로 대치되거나 오류를 발생시키며

레이아웃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해외로 보내는 문서라면 사용할 수 없겠죠.

- 파일크기는 250kb 정도입니다.

5. 코렐드로우11 - 아크로밧 디스틸러 드라이버 사용시
- 아크로밧 디스틸러6적용

- '파일-PDF출력'을 클릭
옵션은 'Standard' 이상을 적용해 봅니다.
'인쇄'를 클릭

- 변환과정이 진행됩니다.

- 9버전에서와 같이 영문서체를 제외하고 한글서체는 모두 벡터이미지로 변경되었습니다.

- '편집-기본설정-부드럽게하기'에서 그림처럼 '라인아트 부드럽게하기'를 체크해제 합니다.

- 한글서체 부분은 안티알리아스가 적용되지 않은 거친 이미지로 표현됩니다.

- 당연히 본문검색이 되지 않으며 텍스트 추출도 되지 않습니다.

- 파일크기는 벡터이미지로 변한 서체들 때문에 7.5mb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문서 속성에서 서체는 영문서체만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6. 코렐드로우11 - PDF자체출력 후 아크로밧 디스틸러 드라이버 사용시
- 코렐11과 아크로밧만 가지고 있을 때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 '파일-PDF출력-설정-개체'에서 그림처럼 '문서에 글꼴 포함'을 체크해제 합니다.

- 저장할 폴더 위치와 파일명을 지정한 후 '저장'을 클릭
변환이 진행됩니다.

아크로밧에서 변환된 PDF를 불러옵니다.

- 일단 화면상으로는 제대로 변환된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폰트는 제대로 문서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폰트를 포함시켜주기 위해 아크로밧상에서 인쇄를 해 봅니다.
즉 PDF에서 PDF로 다시 변환하는 것입니다.
프린터를 'Adobe PDF'로 선택하고 '속성'을 클릭

- 그림처럼 설정합니다.
'pdfman'옵션은 앞 강좌(lesson6. 디스틸러 설정 부분 참조)의 아크로밧5와 동일합니다.
확인하기 위해 '편집'을 클릭

- 일반탭에서의 설정은 그림과 같습니다.

- 이미지탭에서의 옵션은 그림과 같습니다.

- 글꼴탭에서의 옵션은 그림과 같습니다.

- 다른 설정 등을 점검한 뒤 '확인'을 클릭

- 저장할 폴더의 위치와 파일명을 지정한 뒤 '저장'을 클릭

- 변환과정이 진행됩니다.

- 변환결과입니다.


문서속성의 글꼴탭을 살펴보면 모든 한글서체가 포함 서브세트로 임베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문서에 사용된 서체가 없는 다른 시스템에서도 동일하게 열람하고 프린트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트루타입 폰트가 포스트스크립트 드라이버를 통과헀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오류(여기서는 검색불가)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서체가 임베드 되어도 파일크기는 270kb정도로 약간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예상대로 본문검색은 되지 않습니다.

- 텍스트를 선택한 후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워드패드에 붙여넣어도 올바른 텍스트 코드를 읽어내지 못합니다.

본문검색이나 텍스트 추출을 제외해도 좋다면 코렐에서 pdf로 변환하는 데는
코렐11과 아크로밧을 이용해 위 방법으로 변환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강좌는 좀 더 복잡하고 번거롭긴 하지만 코렐에서 만든 문서를 서체검색과 텍스트 추출도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pdfman